류머티즘성 관절염
인체의 면역 체계 이상으로 인해
외래항원을 공격해야 할 면역세포가 자기세포를 공격함으로써 발생하는
대표적인 “자가면역성 질환”입니다.
관절은 보통 뼈와 뼈 사이에서 쿠션역할을 하는 연골, 윤활유 역할을 하는 관절액, 그리고 관절의 안쪽면을 에워싸는 윤활막, 윤활막 외부의 관절 주머니, 등으로 구성이 됩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윤활막 세포에 면역성 반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기게 되면 자신의 윤활막세포를 스스로 공격하는 면역 기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때 윤활막 손상과 함께 만성 염증이 유발됩니다. 이후 윤활막이 점점 연골과 뼈를 잠식하게 되면서, 급기야 관절에 변형이오고 딱딱하게 굳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면역성 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을 본다면, 윤활막 세포가 배출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이 염증성 백혈구를 윤활막 세포 주변으로 불러오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윤활막 세포 주변의 모세혈관의 바깥쪽 표면에 접착 분자가 나오도록 유도하여, 더욱 염증성 백혈구가 윤활막 세포에 침입하기 좋은 환경이 되도록 해줍니다. 즉 이러한 과정을 가속화하여, 윤활막 세포의 손상을 촉진하고, 나아가 주변 연골이나 뼈를 파괴하는 물질이 분비되어 연골과 뼈가 파괴되며, 관절에 심한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류머티즘성 관절염은 특정 장기에만 국한하여 나타나는 특이성 자가면역 질환이 아닌 전 관절에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전신성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따라서 특정 관절을 무리하게 사용하거나 노화로인해 발생하는 관절병과는 구분하여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관절 통증 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 면역체계 이상을 바로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환명 | 표적 장기 및 조직 | 생성되는 자가 항체 |
---|---|---|
하시모토병 | 갑상샘 마이크로솜 | 항갑상샘 마이크로솜 항체 |
중증 근무력증 | 신경·근육 (아세틸콜린 수용체) |
항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 |
굿파스처 증후군 | 허파 / 콩팥 | 항기저막 항체 |
궤양성 대장염 | 큰창자 | 큰창자 상피세포에 대한 항체 |
질환명 | 표적 장기 및 조직 | 생성되는 자가 항체 |
---|---|---|
류머티즘성 관절염 | 관절의 골막 | 류머티즘 인자, 항 CCP 항체 |
전신 홍반 루푸스 | 여러 장기 | 항이중 가닥 사슬 DNA 항체, 항핵 항체 등 |
이처럼 현재까지 통증과 면역체계 이상을 동시에 치료하는 방법은 없고, 효과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부작용을 염려해야 하므로, 난치의 영역에 속합니다.
광혜병원 면역통증센터는 여러 면역성 질환 및 그와 관련된 염증과 통증을 치료하기위해, 융합의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연구와 개발에 집중해왔습니다.